R e d A l i e n Click

엄청난 기술을 접하면, 마치 외계인의 기술을 훔친 것과 같다고 말합니다

붉은외계인은 그러한 놀라운 기술을 탐구하고, 기술적인 도전에 맞서는 것을 의미하는 저의 또 다른 이름입니다

서로가 성장할 수 있는 건설적인 토론을 좋아합니다.

article_thumbnail

[붉은외계인] 네트워크 - Network의 의미와 호스트, 스위치의 관계

2023. 12. 28.
클릭 시, 이동!

 

1. Network란 무엇인가, 그리고 Protocol

Network를 정의하자면 관계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혹은 Router의 집합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망에서의 상호작용Networking이라고 부르며,
Network에서 Networking을 하기 위한 규칙을 바로 Protocol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Protocol을 추상화한 개념이, 바로 OSI 7 Layer 등의 모델이고, 이것을 바탕으로 구현한 것이 TCP, IP 등이다

 

 


 

 

2 - 1. Network에서 호스트(Host)란 무엇인가

Host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를 의미한다

반대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단순하게 PC라고 부른다
여기서 포인트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이다 즉, Router, Switch 등의 기기들도 컴퓨터에 해당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라우터, 스위치는 Host라고 불러야하는걸까? 아래에서 자세하게 알아보자

 

 


 

 

2 - 2. 호스트의 분류

 

위에서 언급하였듯, Host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Host는 Network 이용주체Network 자체로 분류할 수 있다

 

Network 이용 주체는, 이름 그대로 Network를 이용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용 주체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끝단에 위치하고 있어서 End-Point라고도 부른다
대표적으로, Server와 Client가 있다

 

Network 자체는, 이름 그대로 Network 자체를 이루는 녀석들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스위칭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Switch 라고 부른다
대표적으로, Router와 Firewall, IPS 등이 있다 

 

결론적으로, Router와 Switch, Firewall 등은 모두 Host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Switch를 역할에 따라 분류하자면 위와 같이 분류 할 수 있다
보안적인 측면에 기기들도, 어쨌든 조건에 따라 스위칭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Switch에 속한다

 

그리고 Switch는 어떤 데이터를 스위칭하느냐에 따라서도 분류 할 수 있다
L2, L3 스위치 등으로 분류 할 수 있는데 L3에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Router이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알아보겠다

 

 


 

2 - 3. L2 스위치, L3 스위치, 그리고 Router

스위치에 대하여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위치들의 기본 배치가 어떻게 되는지 알아야 한다
아래 그림은, 스위치의 기본 배치 구조도이다 각 단어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 Link Up : 네트워크 연결이 정상적으로 되었다는 의미
# Link Down : 네트워크 연결에 실패하였다는 의미 ( 렌선이 물리적으로 뽑혔다는 등 )
# Up Link : 상위 스위치로 연결되는 랜선을 의미

# L2 Access Switch : End-Point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Switch를 의미한다
# L2 Distribution Switch : 스위치를 위한 스위치, L2 Access Switch가 연결되는 Switch를 의미한다
# Router : L3 Switch에 속하는 친구

쉽게 얘기하자면, L2 Access Switch는 방 하나당 설치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방 하나의 모든 컴퓨터들이 L2 Access Switch로 연결되는 것이다
L2 Distribution Switch는 층마다, Router는 건물 하나당 설치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여기서 L2, L3 등으로 분류하는 기준어떤 데이터를 스위칭하느냐에 따라 분류한다

L2 Layer에서 다루는 데이터는 MAC주소이다 MAC 주소를 스위칭한다면 바로 L2 Switch이다
L3 Layer에서 다루는 IP 주소를 스위칭하면 L3 Switch, L4 Layer에서 다루는 Port 번호를 스위칭하면 L4 Switch이다

 

 

계층별 다루는 데이터는 아래 게시물을 참고 바란다

2023.12.28 - [네트워크] - [붉은외계인] 네트워크 - 네트워크 소켓에서부터 OSI 7 Layer까지의 이해

 

[붉은외계인] 네트워크 - 네트워크 소켓에서부터 OSI 7 Layer까지의 이해

1. 컴퓨터는 3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컴퓨터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나눌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다시 한 번, 시스템 소프트웨어(OS)와 애플리케이션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OSI 7 Layer model과 D

redalien.tistory.com

 

 

참고로, Switch의 연결 단자를 Interface 혹은 Port라고 부른다